라벨이 카르카손 Carcassonne인 게시물 표시

프랑스 루아르의 보석, 쉬농소 성(Château de Chenonceau)을 걷다

이미지
프랑스 숴농소성  Château de Chenonceau 프랑스 루아르 여인들의 성… 쉬농소 성(Château de Chenonceau) 프랑스 5월은 생각보다 변덕스럽기도 하고 하루하루 온도와 공기가 달랐다. 신기하게 루아르 밸리(La Vallée de la Loire)의 중심부에 위치한 쉬농소(Chenonceaux) 마을로 향할 때는 빛이 너무 예뻐 설렘이 두 배였다. 루아르강의 지류, 셰르 강(Cher River) 위에 우아하게 걸쳐 있는 쉬농소 성(Château de Chenonceau)은 단순한 르네상스 양식의 아름다운 성을 넘어, 수세기에 걸쳐 수많은 여인의 손길로 빚어진 ‘여인들의 성’이라 불린다. Château de Chenonceau 쉬농소 성 쉬농소 마을에서 성으로 향하는 길 쉬농소 성은 파리에서 기차로 약 2시간 남짓 떨어져 있으며, 투르(Tours) 역을 거쳐 셰르강 인근의 쉬농소 역에 도착하면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성으로 이어진다. 15분가량 천천히 걷는 동안, 들판과 야트막한 농가 사이로 난 오솔길은 그 자체로 한 편의 시처럼 고요했다. 성의 입구에 다다르면 눈에 먼저 들어오는 것은 작지만 앤틱한 기념품점이다. 내부는 정갈하게 정리되어 있으며, 프랑스 전통 문양이 들어간 접시, 와인잔, 향수 그리고 고운 실크 스카프들이 벽면 가득 채워져 있다. 친구가 잠시 걸음을 멈추고, 수채화처럼 펼쳐진 쉬농소 성을 배경으로 한 화이트 스카프를 구입해 선물로 줬다. 성을 여행한 기념으로, 그리고 그날의 따뜻한 햇살을 담기 위해서라고… 여행마다 스카프를 좋아하는 나를 위해 잊지 않고 선물해주는 덕분에 항상 감동과 함께 감사하다. 셰르 강 위의 우아한 아치 ,쉬농소 성 쉬농소 성은 셰르 강 위에 아치형 다리를 세우고 그 위에 성을 얹은 형태로, 유럽에서 보기 드문 건축 구조를 자랑한다. 성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강 너머 성을 바라보는 순간, 누구라도 숨을 멈추게 된다. 고요한 수면 위에 비친 성의 반영은 현실과 꿈 사이 어딘가에 떠...

중세의 시간속으로 카르카손(Carcassonne) 콩달성(Château de Quéribus)

이미지
남프랑스 시간 여행 아를에서 카르카손, 콩달성까지 중세의 숨결을 따라가다 프랑스 남부의 여름은 여느 해변 도시의 활기찬 여정 못지않게, 묵직한 시간의 흐름과 맞닿아 있다. 햇살 가득한 남프랑스를 뒤로하고 카르카손(Carcassonne)과 콩달성(Château de Quéribus)이라는 두 고성을 시작으로 북쪽으로 여정을 시작했다. 그 여정은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중세와 고대, 그리고 인간의 신념과 건축의 극한이 어우러진 ‘시간의 복원’이었다. 아를에서 출발하는 시간 여행의 시작 아를은 로마 유적과 고흐의 붓질이 깃든 도시로 유명하지만, 이곳을 기점으로 자동차 여행을 시작하면 프랑스 남부의 진짜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다. 이른 아침, 아를 동쪽으로 약 두 시간 반, 라발(Laval), 나르본(Narbonne)을 지나 카르카손으로 향했다. 풍경은 라벤더 밭과 와인 농장, 소박한 언덕 위 작은 마을들을 스쳐 지나가며 점차 중세의 뉘앙스를 풍기기 시작했다. 중세 유럽의 살아 있는 박물관, 카르카손(Carcassonne) 고대와 중세의 경계에서 탄생한 요새 카르카손은 고대 로마인에 의해 도시의 기틀이 잡혔으며, 중세에는 프랑스 남부에서 가장 강력한 요새 중 하나로 성장했다. 이 도시는 3km에 달하는 이중 성벽과 52개의 탑을 갖춘 방어 체계로 유명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도시 전체가 마치 하나의 거대한 박물관처럼 중세 유럽의 전성기를 보여주는 산 증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성곽 외부의 모습만으로도 위엄이 느껴지지만, 성 내부로 들어서는 순간부터는 흡사 게임이나 영화 속 배경 속에 들어온 듯한 몰입감이 시작된다. 성벽 내부의 도로는 자갈이 깔린 미로처럼 구불거리며, 양쪽에는 수공예 상점, 전통 음식점, 그리고 작은 광장이 자리잡고 있다. 이 고풍스러운 도시 한복판에서, 관광객들은 단순한 구경꾼이 아니라 중세의 한 장면에 스며드는 ‘등장인물’이 된다. 건축의 정수와 복원의 논쟁 오늘날의 카르카손은 19세기 건축가 외젠 비올...